3D프린팅 : 잊어 버려야 할 3가지 변화

중국 대통령의 불길한 '기업부채' 폭탄 돌리기가 실시됐다.

image

이번년도 들어 중국 3D프린팅 최대 자산관리기업인 화룽자산케어공사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가 불거진 직후 만성질병과도 같은 중국 부채 위기를 바라보는 글로벌 시장의 더욱 개방적으로 바뀌고 있다. 시장 분석기관들은 기업 부채 위기가 이번년도 혹은 내년 중국 경제성장률을 발목 잡는 실질적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근래에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024년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기업 사채 규모가 2조1100억 달러(약 2300조원)에 이른다고 보도하며 올해 실적발표를 두 차례나 연기하며 부실 위험성을 키우고 있는 화룽자산케어공사를 주력 거론했다. 화룽이 이번년도 상환해야 할 사채 덩치는 12조원 이상으로 평가된다.

중국 정부가 절반 이상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국영기업인 화룽은 요즘 글로벌 신용평가기관인 피치와 무디스가 연달아 화룽의 초장기 외화표시 발행자등급(IDR)을 강등하면서 중국 경제의 '회색코뿔소'(예상가능허나 대비에 소홀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수 있는 이슈)로 부상했다.

은행권 지원에 힘입어 화룽은 근래에 만기 도래 사채 상태을 시간 내 맞췄지만 국내 기관투자자들은 화룽의 유동성 위기 사태에서 중국 정부의 대응 역량을 의심스럽게 보고 있다.

중국 기업 부채 문제는 해묵은 이슈이지만 화룽 부실 문제가 올해 불거진 이후 중국 대통령이 선제 대응에 나서지 않으면서 '중국 국경기업은 아무리 부채가 많아도 국회의 무한 지원으로 절대 무너지지 않는다'라는 신화가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피치는 저번달 화룽의 단기 IDR 등급을 'A에서 'BBB로 강등한 사유에 대해 노골적으로 '중국 정부의 화룽 지원 신호(indication of support )가 두드러지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한편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등은 국내외 기관투자자들이 중국 기업의 역외 채권과 역내 채권 부실 문제와 관련해 중국 대통령이 중국 역내 채권 대응에 우선순위를 두고 움직일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고 알렸다. 노골적으로 역내 부채 문제에 우선 대응할 경우 외화 발행 채권을 매입한 국내외 투자자들이 낭패를 당하게 된다.

로이터 보도의 말에 따르면 하룽의 사채 발행 잔고는 약 52조원으로 이 중 16조3000억원이 올해 만기를 맞는다.

최근 중국 은행들의 비용 지원으로 오는 8월까지 하룽이 숨통을 텄다는 보도가 나오지만 하반기 내내 하룽 리스크는 중국 경제의 https://en.search.wordpress.com/?src=organic&q=엑시토 암덩어리(기업부채)를 부각시킬 것으로 보인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지난 18일 보도에서 화룽 이슈를 조명하며 '이 불씨가 글로벌 마켓 전체에 충격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홍콩 증시에 상장된 하룽자산케어공사 주식은 이번년도 초 유동성 위기가 불거지고 실적 발표까지 미루는 초유의 사태로 인해 8월 말부터 현재까지 거래중지 상황다.

중국 민간기업이 아닌 국영기업조차 내재된 부실을 감추기 위해 11월 말에 접어든 최근까지 시장 준칙을 어기고 실적보고서를 내지 않는 상황에 세계가 경악하고 있다.

아울러 대한민국은행 조사국 중국경제팀은 26일 낸 '중국 기업부채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요인 점검' 분석 보고서에서 △무리한 부동산 기업 부채 △지방정부 자산담보 부채 △좀비기업(한계기업) 구조조정 지연 등을 중국 기업부채 리스크의 핵심 이슈로 뽑았다.

국내는행은 '해외총생산(GDP) 예비 기업부채 비율이 급속히 많아진 47개국 중 33개국이 성장률 둔화를 겪거나 금융위기를 맞았다'는 국제통화기금(IMF) 조사 결과를 언급하며 '중단기적으로 업체의 과잉투자가 조정되는 과정에서 중국경제의 성장 둔화 요인으로작용할 가능성은 상존한다'고 밝혀졌다.

중국의 GDP예비 기업부채 분포는 지난해 말 기준 163%로, 미국(85%)은 물론 130% 초반대인 우리나라와 일본을 크게 상회한다.